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유비3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유비의 행위론 토마스 아퀴나스 존재유비의 행위론 4.4 존재유비의 행위론 앞에서 토마스 아퀴나스의 개인적인 실재와 관련을 유지하는 술어의 망으로서 관계적 다의성의 유비의 해석을 다루었다. 이것은 자립적인 개념, 추상적이고 고립적인 개념이상이다. 이 장에서는 판단으로서 유비를 다룬다. 여기서 판단은 관념을 확장하여 모든 술어로 진리를 보여주고 추적하는 판단이다. 따라서 유비는 신과 창조물에 대하여 진정한 판단을 감싸는 관계망 안에서 존속한다. 첫 번째로 우리는 참과 개념 관련 한에 있어서 토마스의 사유 안에서 판단의 본성을 다룰 것이다. 그 다음에 그의 초월적 유비가 어떻게 신과 창조물 사이에 발생하는지를 설명하고 신과 창조물에 대한 일차적 판단의 연속에 의하여 확인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신앙의 은총을 받은 판단.. 2023. 1. 6.
토마스 아퀴나스 유비론 2 : 존재 유비의 방법론 토마스 아퀴나스 유비론 : 존재 유비의 방법론 4.3 존재 유비의 방법론 이 절은 다양성과 그의 통일성, 특별히 하나와 관련된 의미들에 대한 특별히 연관된 다의성에 대한 아퀴나스의 유비 중에 대단히 중요한 부분으로 생각된다. 4.3.1 일차적 의미들과 이차적 의미들 토마스는 일차적 의미들과 이차적 의미들에 대한 얽힌 그물망에 따라서 어떻게 유비적 명칭이 의미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일차적 내지 이차적(per prius et posterius) 구절을 사용한다. 이것은 토마스에게 유비적 명칭(일차적 의미)의 중요성 중에 하나이다. 왜냐하면 항상 명칭에 다른 의미들(이차적 의미)이 포함된 사실은 중요한 의미가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명사 ‘존재’의 일차적 의미인 실체는 존재의 그 종류에 대한 정의 안에 .. 2020. 10. 6.
Speaking the Incomprehensibe God Speaking the Incomprehensibe God, Gregory P. Rocca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Washington, D. C Thomas Aquinas on the Interplay of negative theology and positive theology Rocca는 이 책에서 주장하기를 토마스가 부정신학과 긍정신학을 함께 엮어서 신 담론을 구성한다고 말한다. 오로지 긍정신학과 부정신학을 상호관계 속에서 역설적으로 엮어 짜서 신 담론의 만드는 이유는 신앙과 신학이 균형 감각을 가지고 신에 대한 언명을 잘 들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로카는 신은 결코 개념적이고 관념적인 않다는 말한다. 만약 우리가 개념적 신 담론의 책략에 의.. 2016. 12.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