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혜윰인문학▣/인문학여행

인도 인문학 산책 9: 왜 불교는 인도 카스트 제도를 거부했는가?

by 뜨르k 2024. 6. 10.
반응형
인도 인문학 산책 9: 왜 불교는 인도 카스트 제도를 거부했는가?

 

“개는 마을의 우물물을 자유롭게 마실 수 있지만, 불가촉천민은 우물을 사용하면 부정해진다고 믿기 때문에 우물도 쓸 수 없다” 2020.9.17. 아사히신문

 

 

인도 카스트 제도에 관한 이야기는 앞장에서 다루었고 이번 인문학 산책은 왜 불교는 인도 카스트 제도를 거부했는가? 이다. 카스트의 출발은 인간을 원천적으로 생각하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으로 구분한다. 생각하는 사람은 영혼이 있는 자이고 그렇지 못한 사람은 영혼이 없는 자로 단순히 일만 하는 사람이다. 이것이 카스트의 본질이다. 따라서 카스트 제도에서 진정한 인간은 영혼을 가진 브라만 등 상층계급이 이에 해당한다. 이들만이 가치를 지니는 존재이다. 카스트에도 속하지 못하는 불가촉천민은 하층계급으로 영혼이 없는 존재로 치부되었다. 한 마디로 인간으로 인정하지 않았다. 이러한 하층민들에게는 새로운 종교가 필요했을 것이다. 그들이 선택한 종교는 바로 불교이다. 불교는 브라만들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을뿐더러 제사와 내세를 거부했기 때문이었다. 석가모니 등장으로 기존의 힌두교에 큰 혁명을 불러왔다. 기원전 260년경 인도를 통일한 아쇼카 왕은 불교를 국교로 제정한다. 힌두교 천지창조와 카스트 제도의 신분 타파를 주장한 불교의 가르침은 대중들의 인기를 등에 얻고 급속하게 발전한다. 사람의 귀천은 신분이나 계급이 아니라 행위에 따라 결정된다는 교리 덕분이다. 게다가 지배계급이 아니어도 힌두교와 달리 불경을 읽을 수 있도록 각 지방 언어로 쓰인 불경도 만들어졌다. 인도에서 불교의 전성기는 1세기부터 3세기까지였다. 그러다 4세기경에 대반전이 일어났다.

불교가 쇠퇴한 시기는 대략 5세기경부터인데 그 이유는 인도인의 몸체인 카스트 제도를 반대했기 때문이다. 불교의 남녀평등 사상은 승려계급에 여성이 참여할 수 있도록 했다. 더욱이 불교는 힌두교의 형식주의를 비판했기 때문에 기득권층의 격렬한 반발과 저항이 있었다. 그 이유는 불교가 카스트 제도를 인정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윤회의 고리를 끊고 해탈하면 부처가 되기 때문이다. 불교도는 윤회하기 때문에 작은 미물마저도 살생하지 않는다. 하잖은 벌레도 전생에 사람일 수도 있다. 이처럼 누구든지 부처가 아니면 윤회하므로 모두 평등하다. 불교에서 카르마(업)는 힌두교와 달리 카스트 제도를 거부한다. 불교의 창시자 석가모니는 크샤트리아라는 상위 계층이었음에도 기원전 5세기 카스트 제도에 강한 의문을 품었다. 그리고 카스트 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힌두교와 불교가 다른 점이 여기에 있다. 이런 면에서 불교가 힌두교보다 훨씬 혁신적인 듯하다. 불교의 바탕은 무아(無我), 무상(無相)이다. 본래 태어날 때 비천이 없다는 것이다. 다만 비천함은 현생의 행위로 구분된다. 무아(無我) 측면에서 볼 때, 인간은 고정된 자아가 없고 영혼도 없다. 그리고 자아는 끊임없이 변한다. 수행을 통해서 과거의 유형이나 고정된 사고를 벗어나라고 권한다. 불교에서 업(카르마)은 힌두교와 달리 중생이 몸으로 저지르는 선악의 소행을 말하거나 전생의 소행의 말미암아, 현세의 응보(應報)를 가리킨다. 이처럼 불교는 인도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인종차별, 성차별, 신분 차별, 직업차별인 카스트 제도를 정면으로 부정하였다.

불교 외에도 힌두교 자체 안에서도 카스트 제도에 대한 반대 운동이 있었다. 14~16세기에 있었던 종교개혁운동이다. 힌두교 정통에 반기를 들었던 그 운동이 신의 사랑을 강조하는 바로 바크티 운동이다. 이 운동에는 불가촉천민, 여성, 그리고 시인, 재단사, 이발사 등 낮은 계급의 사람들이 참여했다. 불가촉천민도 상류 카스트처럼 신의 은총이 똑같다고 신 앞에서는 평등하고 신과 하나가 될 수 있다고 믿었다. 이러한 운동은 사회에 신성한 충격을 주었지만, 종교 운동의 한계를 벗어나지는 못했다. 불가촉천민에게도 한 영웅이 있었다. 인도 헌법에 카스트 차별금지조항을 만든 바로 전 법무부 장관인 빔라오 람지 암베드카르(Bhimrao Ramji Ambedkar 1891~1956)이다. 그는 자신이 불가촉천민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인고의 노력 끝에 해외로 유학을 마치고 인도의 초대 법무부 장관까지 오른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1950년대 암베드카르(1891~1956)는 평등을 지향한다고 보는 불교로 개종 운동을 전개했다. 1956년 50만 명의 불가촉천민을 이끌고 이들을 불교로 개종시켰다. 그는 불교의 힘을 빌려 만인의 평등을 주장하며 불가촉천민 계급을 해방하고자 했다. 카스트 거부 운동은 그가 죽은 후에도 계속되어 약 800만 명의 불가촉천민(달리트)들이 카스트 제도를 거부하고 불교로 귀의했다. 불교는 카스트 제도라는 전통을 거부함으로써 한때나마 인도 사회에서 가장 큰 세력을 형성하였지만, 낮은 카스트의 한계를 드러내면서 쇠퇴하게 되었다. 2024/6/10 뜨르/ 혜윰인문학연구소

반응형

댓글